테오도로 1세 델 몬페라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오도로 1세 델 몬페라토는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와 몬페라토의 이레네의 아들로, 1305년 삼촌 조반니 1세가 사망한 후 몬페라토 후작령을 상속받았다. 그는 제노바와 동맹을 맺고, 살루초의 만프레드 4세, 나폴리의 카를로 2세 등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후작령을 확보하여 1310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테오도로는 군사 교본 "Les Enseignemens"을 저술했으며, 1338년 사망 후 아들 조반니 2세가 뒤를 이었다. 그는 아르헨티나 스피놀라와 결혼하여 요한 2세와 욜란다를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38년 사망 - 미켈레 다 체세나
미켈레 다 체세나는 프란체스코회 총장, 신학자로서 교황 요한 22세와 청빈 문제로 대립하며 교황의 권위에 도전하고, 파문당한 후에도 복음적 청빈을 옹호하다가 1359년에 복권되었다. - 1338년 사망 - 기타바타케 아키이에
기타바타케 아키이에는 가마쿠라 시대 말에서 남북조 시대에 활약한 구게이자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옹립하고 겐무 신정을 추진했으며 아시카가 다카우지에 맞서 남조를 지지하며 활약했지만 21세에 이시즈 전투에서 전사했고, 사후 메이지 유신 이후 재평가되어 그의 충절을 기리는 신사가 건립되었다. - 1290년 출생 - 가자 마다
가자 마다는 14세기 마자파힛 제국의 재상으로서, 자야네가라 왕 구출 및 반란 진압에 기여하고 팔라파 선서를 통해 제국 확장을 목표로 삼았으며, 부밧 전투 이후 강등되어 생을 마감했다. - 1290년 출생 -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와 나바라 여왕 잔 1세의 딸인 이사벨 드 프랑스 왕녀는 잉글랜드 왕비가 되어 남편의 총신들과 갈등하고 귀족들과 반목했으며, 로저 모티머와 연합하여 잉글랜드를 침공해 아들 에드워드 3세의 섭정으로 4년간 통치했다. - 동로마 제국의 황자 -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
콘스탄티노스 11세 팔레올로고스는 1405년에 태어나 1449년 황제가 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의 위협 속에서 동서 교회의 통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과 함께 최후를 맞이하며 동로마 제국의 종말을 가져왔다. - 동로마 제국의 황자 - 테오필로스
테오필로스는 9세기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 성상 파괴 운동을 계승하고 강압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학문과 예술에 대한 관심과 아랍 문물 동경을 바탕으로 수도 재건 및 건축물 건설에 힘쓴 문화 군주였다.
테오도로 1세 델 몬페라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몬페라토 변경백 |
가문 | 팔레올로고스 가문 |
이름 | 테오도로 1세 델 몬페라토 |
로마자 표기 | Teodoro I Palaiologos |
통치 | |
재위 시작 | 1306년 |
재위 종료 | 1338년 |
전임자 | 조반니 1세 알레라미치 |
후임자 | 조반니 2세 팔레올로고스 |
가계 | |
아버지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어머니 | 비올란테 디 몬페라토 |
배우자 | 아르젠티나 스피놀라 |
자녀 | 조반니 2세 델 몬페라토 욜란다 팔레올로기나 델 몬페라토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290년경 |
출생지 | 콘스탄티노플 (현재 튀르키예 이스탄불) |
사망일 | 1338년 4월 24일 |
사망지 | 트리노, 이탈리아 |
2. 생애
테오도로는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와 몬페라토의 이레네의 아들이었다.[1] 1305년 삼촌 조반니 1세가 사망하자 몬페라토의 알레라미치 후작가의 남성 혈통이 단절되었고, 후작령은 이레네의 자녀에게 넘어갔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타나시우스 1세는 맏아들 조반니 대신 테오도로를 이탈리아로 보냈다.
1306년 제노바에 도착한 테오도로는 1307년 제노바의 유력자 오피치노 스피놀라의 딸 아르헨티나 스피놀라와 결혼했다.[3] 스피놀라는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테오도로의 몬페라토 계승을 지원했다.
살루초의 만프레드 4세, 사보이 가문, 나폴리의 카를로 2세 등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몬페라토 후작령 전체를 확보한 테오도로는 1310년 황제 하인리히 7세로부터 정식으로 서임을 받았다.
1338년 트리노 베르첼레세에서 사망한 테오도로의 뒤를 이어 아들 조반니 2세 팔레올로고스가 후작위를 계승했다.
2. 1. 가계와 몬페라토 후작위 계승
테오도로는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와 몬페라토의 이레네의 아들이었다.[1] 1305년 그의 삼촌 조반니 1세가 사망하자 몬페라토의 알레라미치 후작가의 남성 혈통은 끊어졌다. 몬페라토 후작령은 이레네의 자녀에게 넘어갔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타나시우스 1세는 맏아들인 조반니의 후보 자격을 막았고, 테오도로는 대신 이탈리아로 갔다.테오도로는 1306년에 제노바로 항해했다. 1307년에는 제노바의 거물인 오피치노 스피놀라의 딸인 아르헨티나 스피놀라와 결혼했으며, 그녀는 제노바 공화국의 ''Capitano del Popolo''(공동 통치자)였다.[3] 스피놀라는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테오도로의 몬페라토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했다.
테오도로는 살루초의 만프레드 4세에게 반대받았다. 만프레드는 사보이 가문의 분가 출신이었고, 몬페라토의 여러 후작들은 사보이 출신 아내를 두었다.[4] 나폴리의 카를로 2세 왕도 후작령의 일부를 주장했다. 그는 점차 이 적들을 물리치고 후작령 전체를 확보했다. 1310년 그는 황제 하인리히 7세로부터 황제의 서임을 받았다.
2. 2. 제노바와의 동맹과 후작령 확보
테오도로는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황제와 몬페라토의 이레네의 아들이었다.[1] 그의 삼촌 조반니 1세가 1305년에 사망하자 몬페라토의 알레라미치 후작가의 남성 혈통은 끊어졌다. 몬페라토 후작령은 이레네의 자녀에게 넘어갔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아타나시우스 1세는 맏아들인 조반니의 후보 자격을 막았고, 테오도로는 대신 이탈리아로 갔다.테오도로는 1306년에 제노바로 항해했다. 1307년에 그는 제노바의 거물인 오피치노 스피놀라의 딸인 아르헨티나 스피놀라와 결혼했으며, 그녀는 제노바 공화국의 ''Capitano del Popolo''(공동 통치자)였다.[3] 스피놀라는 자신의 재산을 사용하여 테오도로의 몬페라토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했다.
테오도로는 살루초의 만프레드 4세에게 반대받았다. 만프레드는 사보이 가문의 분가 출신이었고, 몬페라토의 여러 후작들은 사보이 출신 아내를 두었다.[4] 나폴리의 카를로 2세 왕도 후작령의 일부를 주장했다. 그는 점차 이 적들을 물리치고 후작령 전체를 확보했다. 1310년 그는 황제 하인리히 7세로부터 황제의 서임을 받았다.
2. 3. 사망
테오도로는 1338년 트리노 베르첼레세에서 사망했다. 그의 뒤를 그의 아들 조반니 2세 팔레올로고스가 이었다.[1]3. 저술
테오도로는 ''Les Enseignemens ou Ordenances pour un Siegneur qui a Guerres et Grans Gouvernemens a Faire''라는 제목의 군사 교본을 저술했으며, 흔히 ''Les enseignements''로 불린다.[1] 이 교본은 테오도로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있던 1326년에서 1327년 사이에 그리스어로 처음 작성되었으나, 현재는 장 드 비네의 중세 프랑스어 번역본만 전해진다.[1] 베게티우스의 De Re Militari 등 알려진 고전 텍스트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교본은 가장 흥미로운 중세 군사 교본 중 하나로 꼽힌다.[1] 따라서 후기 비잔틴 및 중세 세계의 군사적 사고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1]
4. 가족 관계
배우자 | 아르헨티나 스피놀라 |
---|---|
자녀 |
5. 조상
16 | 8 | 4 | 2 | 1 | |
---|---|---|---|---|---|
안드로니코스 두카스 콤네노스 팔레올로고스 | 미하일 8세 팔레올로고스 |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 | 테오도로 1세 | ||
17 | 9 | 5 | |||
테오도라 앙겔리나 팔레올로기나 | 테오도라 팔레올로기나 | ||||
18 | 10 | 6 | 3 | ||
요한네스 두카스 | 몬페라토 후작 빌헬름 7세 | 몬페라토의 이레네 | |||
19 | 11 | 7 | |||
에우도키아 앙겔리나 | 카스티야의 베아트리체 | ||||
20 | 12 | ||||
몬페라토 후작 보니파시오 2세 | |||||
21 | 13 | ||||
사보이의 마르게리타 | |||||
22 | 14 | ||||
카스티야 레온의 알폰소 10세 | |||||
23 | 15 | ||||
아라곤의 비올란테 |
참조
[1]
서적
The Byzantine Lady: Ten Portraits, 1250–1500
[2]
서적
The Shorter Cambridge Mediev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Constantinople and the Latins: The Foreign Policy of Andronicus II, 1282-1328
Harvard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Gli Ultimi principi d'Acaia e la politica subalpina
[5]
논문
Rhetoric Goes to War: The Doctrine of Ancient and Medieval Military Manuals
[6]
서적
The Byzantine Lady: Ten Portraits, 1250-15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Shorter Cambridge Medieval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Gli Ultimi principi d'Acaia e la politica subalpina
[9]
논문
Rhetoric Goes to War: The Doctrine of Ancient and Medieval Military Manu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